파루시아 칼럼

  • 홈 >
  • 커뮤니티 >
  • 파루시아 칼럼
파루시아 칼럼
제 63 과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 운영자 2020-05-29
  • 추천 1
  • 댓글 0
  • 조회 126

http://faith.onmam.com/bbs/bbsView/30/5741506

제 63 과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
본문 : 계20:4-6, 벧전2:9
요절 : 계20:6 이 첫째 부활에 참예하는 자들은 복이 있고 거룩하도다
       둘째 사망이 그들을 다스리는 권세가 없고 도리어 그들이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어 천년 동안 그리스도로 더불어 왕노릇 하리라

1, 문답
1,누구에게 경배하지 아니한 자가 살아서 그리스도와 더불어 천년동안 왕 노릇 하는가?(계    20:4)



2,신자들의 부활은 몇 번째 부활인가?(계20:5)



3,첫째 부활에 참여하는 자들에게는 무엇이 그들을 다스리지 못하게 죄는가?(계20:6)



4,누가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는가?(계20:6)



5,제사장은 누구와 더불어 왕 노릇 하는가?(계20:6)



6,하나님의 택하신 성도는 무엇과 같은 제사장인가?(벧전2:9)



7,그리스도의 소유된 백성인 거룩한 성도는 어떠한 빛에 들어가는가?(벧전2:9)



기도제목
   지금의 나의 모습은?

  새 시대에 거룩한 하나님과 그리스도의 제사장이 되기 위하여?  
i`era,teuma는 신약성경에서 벧전2:5; 벧전2:9에서만 나온다.
여기에서 구원과 위엄이 산 돌이신 그리스도를 기초로하여 세워진 공동체에게 전이된다. 그런데 이 공동체는 신성한 제사장의 사역을 위하여 영적인 성전으로 세워졌다.
이 공동체는 영적인 희생제사를 바치기 때문에 제사장직이다.
제사장의 집단인 이 공동체는 하나님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제사장이라는 특권 계급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이 하나님과 제사장으로서 교제하기 때문이다.
이 공동체는 왕의 것이고, 왕을 섬기며, 복음 증거의 사역에서 왕의 영광에 참여하므로 왕같은 것이다(벧전2:9).
필로는 제사장 직무를 최고의 것으로 생각하였다(Ebr., 126).
제사장은 완전히 무흠한 생활을 솔선 수범해야 한다(Spec, Leg., 1. 102).
육체적으로 무흠한 것은 영적인 완전 무결의 상징이다(Spec, Leg., 1. 80).
따라서 필로는 이미 죄의 길을 걷지 않는 자는 누구든지 제사장이라고 한다.
필로에게 있어서 모든 의로운 현자는 제사장들이다(Spec, Leg., 1. 243).
1,구약 및 이스라엘 역사의 제사장.
i`era,teuj는 70인역본에서 약 900여회 나오며, 히브리어 코헨(제사장)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a)가장 초기의 자료에서 이스라엘 제사장의 직무는 원래 제사라기보다 신탁의 전달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여호와의 정의와 율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1)  여호와 앞에 있는 성소와 제단에 봉사하는 일(민 16:40; 민 18:5).
(2)  하나님의 율법을 백성에게 가르치는 일(대하 15:3; 렘 18:18; 겔 7:26; 미 3:11),
(3)  백성을 위해 하나님의 뜻을 묻는 일(우림과 둠밈을 통해, 출 28:30, 스 2:63).
(b)  예수님 시대에는 사회적인 격차가 대제사장과 일반 제사장으로 양분시켰다.
후자는 포로에서 돌아온 4반열(24반열 중에서)을 다시 24반열로 나누어 편성했다(대상24장; 눅1:5; 눅1:8).
나누어진 반열별로 한 번에 일주일씩 차례로 성전에서 그들의 임무를 수행했다.
나머지 시간동안 제사장들은 주변 땅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그들은 제식의 순수성 문제에 대한 전문가적 판단을 내릴 수 있었으며, 회당 예배 시간에 율법을 낭독하고 상세히 설명하는 일을 자주 행했다.
3. 신약성경에서 히에류스(제사장).
(e)  예수님의 제사장직은 아론의 제사장직을 능가하여(히7:15-17), 멜기세덱의 제사장직까지 거슬러 올라가며(히7:15-17), 과거의 제사 체계에서 상실한 완전성을 가지고 있다(히 7:18).
①예수님의 제사장직은 하나님 자신의 맹세에 기초한다(히 7:20-22).
②예수님의 제사장직은 영원한 그리스도에 중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영속적이다(히7:23-25)
③예수님의 제사장직은 아론의 자손들이 했던 것처럼 죄의 정화를 받을 필요가 없는          그리스도의 완전성을 공유한다(히 7:26-28).
④ 예수님의 제사장직은 하나님 자신이 세우신 참된 성소(모세의 장막은 이 참된 성소의 '모형과 그림자'에 불과하다)가 있는 하늘에서 지속된다(히 8:1-7).
⑤ 예수님의 제사장직은 하나님의 새 언약의 성취이다(히 8:8-13).
⑥ 예수님의 제사장직으로 드리는 제사는 반복할 필요가 없고, '단번에' 드려졌다(히 7:27; 히 9:12).
⑦ 이 제사의 제물은 죄를 제거할 수 없는 '황소와 염소의 피'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피'로서, 이 피를 통해 신자들은 거룩함을 얻는다.
⑧ 그 결과는 제사장 계급만이 아니라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께 온전하게 정상적으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히 10:11-22).
⑨ 예수님의 제사장직으로 말미암는 약속들과 소망들은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그리스도의 재림의 확실성에 의해 보장된다(히 9:28; 히 10:23).
⑩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으로 말미암은 완전한 용서는 우리의 사랑과 의의 역사를 위한 가장 고귀한 동기를 부여한다(히 10:19-25).
⑪ 하나님의 백성의 삶 가운데 예수님의 제사장직의 효력은 그리스도의 중보 기도에 의해 보증된다(히 7:25).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제 64 과 악인들의 영원한 처소(處所)) 운영자 2020.05.29 1 126
다음글 제 62 과 휴거(携擧) 운영자 2020.05.29 1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