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루시아 칼럼

  • 홈 >
  • 커뮤니티 >
  • 파루시아 칼럼
파루시아 칼럼
제 43 과 곡식과 포도송이의 추수 운영자 2020-05-29
  • 추천 1
  • 댓글 0
  • 조회 92

http://faith.onmam.com/bbs/bbsView/30/5741482

제 43 과  곡식과 포도송이의 추수
본문 : 계14:14-20, 마3:12
요절 : 계14:16 구름 위에 앉으신 이가 낫을 땅에 휘두르매 곡식이 거두어지니라

1, 문답
1,이한 낯을 가지신 분은 어디에 앉아 계시는가?(계14:14)



2,어떤 곡식을 거두라고 하였는가?(계14:15)



3,하늘 성전에서 나온 천사는 무엇을 가졌는가?(계14:17)



4,포도송이를 거두라고 말한 천사는 무엇을 다스리는가?(계14:18)



5,어디에 있는 포도송이를 거두었는가?(계14:19)



6,포도송이를 거두어서 어떻게 했는가?(계14:19)



7,틀에 밟아서 나온 피는 어디에까지 펴졌는가?(계14:20)



기도제목
  나는 어떤 열매인가?

  지금도 열매를 맺고 있는가?

  지금 주님이 나에게 원하는 열매는?

제 43 과  곡식과 포도송이의 추수
본문 : 계14:14-20, 마3:12
요절 : 계14:16 구름 위에 앉으신 이가 낫을 땅에 휘두르매 곡식이 거두어지니라
1, 문답
1,이한 낯을 가지신 분은 어디에 앉아 계시는가?(계14:14)
또 내가 보니 흰 구름이 있고 구름 위에 인자와 같은 이가 앉으셨는데
그 머리에는 금 면류관이 있고 그 손에는 예리한 낫을 가졌더라


2,어떤 곡식을 거두라고 하였는가?(계14:15)
또 다른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구름 위에 앉은 이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외쳐 이르되   당신의 낫을 휘둘러 거두소서 땅의 곡식이 다 익어 거둘 때가 이르렀음이니이다 하니


3,하늘 성전에서 나온 천사는 무엇을 가졌는가?(계14:17)
또 다른 천사가 하늘에 있는 성전에서 나오는데 역시 예리한 낫을 가졌더라


4,포도송이를 거두라고 말한 천사는 무엇을 다스리는가?(계14:18)
또 불을 다스리는 다른 천사가 제단으로부터 나와 예리한 낫 가진 자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불러 이르되 네 예리한 낫을 휘둘러 땅의 포도송이를 거두라 그 포도가 익었느니라 하더라


5,어디에 있는 포도송이를 거두었는가?(계14:19)
천사가 낫을 땅에 휘둘러 땅의 포도를 거두어 하나님의 진노의 큰 포도주 틀에 던지매


6,포도송이를 거두어서 어떻게 했는가?(계14:19)
천사가 낫을 땅에 휘둘러 땅의 포도를 거두어 하나님의 진노의 큰 포도주 틀에 던지매


7,틀에 밟아서 나온 피는 어디에까지 펴졌는가?(계14:20)
성 밖에서 그 틀이 밟히니 틀에서 피가 나서 말굴레에까지 닿았고 천육백 스다디온에
퍼졌더라
기도제목
  나는 어떤 열매인가?

  지금도 열매를 맺고 있는가?

  지금 주님이 나에게 원하는 열매는?
추수 : qerismov"(2326, 데리스모스) 추수 harvest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명사 데리스모스는 데리조(qerivzw, 2325: 거두다, 추수하다)에서 유래했으며, '수확' harvest을 의미한다.

2. 70인역본의 용법
명사 데리스모스는 70인역본에서 약 35회 나오며, 주로 히브리어 카치르(수확)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수확시기(창 8:22), 수확물(레 19:9; 레 23:10), 맥추절(출 23:16) 등에 대해 사용되었다.

3. 신약성경의 용법
명사 데리스모스는 신약성경에서 13회 나오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요 4:35에서 데리스모스는 문자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비유를 전제한 것이다: "너희가 넉 달이 지나야 [추수할 때]가 이르겠다 하지 아니하느냐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눈을 들어 밭을 보라 희어져 추수하게 되었도다".
눅 10:2에서 데리스모스는 전도와 관련하여 사용되었다: "이르시되 [추수할 것은] 많되 일꾼이 적으니 그러므로 추수하는 주인에게 청하여 추수할 일꾼들을 보내어 주소서 하라".

(b)  마 13:30 등에서 데리스모스는 비유적 의미로 사용되었다: "둘 다 [추수 때]까지 함께 자라게 두어라 [추수] 때에 내가 추수꾼들에게 말하기를 가라지는 먼저 거두어 불사르게 단으로 묶고 곡식은 모아 내 곳간에 넣으라 하리라".
여기서 하나님의 종말론적 결정을 나타낸다. 예수님의 비유의 가르침은 추수의 이미지를 하나님의 심판의 종말론적인 양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채택했다.
의인과 악인을 분리시키는 최종 심판의 상징인 데리스모스는 가라지 비유에서 예수님께서 발전시키고 있는데 이 비유에서 곡식과 가라지가 이 세상에서 마지막 추수 때가지 같이 자라며, 이 추수 마지막 때 추수꾼 천사는 가라지(불의한 자)를 불사르기 위하여 뽑고 곡식(의로운 자)은 모아서 곡간(아버지의 영원한 나라)에 들인다.
눅 4:29에서도 데리스모스는 같은 의미를 가진다: "열매가 익으면 곧 낫을 대나니 이는 [추수 때]가 이르렀음이니라". 이 은밀히 씨를 뿌리는 비유에서 천국의 삶에 있어 결정적인 사건은 잘 드는 낫으로 영적인 추수물을 수확하는 것이다.
계 14:15 이하에서 데리스모스는 같은 의미를 가진다: "또 다른 천사가 성전으로부터 나와 구름 위에 앉은 이를 향하여 큰 음성으로 외쳐 가로되 네 낫을 휘둘러 거두라 거둘 때가 이르러 땅에 [곡식]이 다 익었음이로다 하니". 여기서 땅의 수확물은 인간 행위의 결과이다. 이것이 구원이나 심판을 결정할 것이다. 이 결정에 시간은 임박해 있으며(마 9:37, 마 9:38), 그 기준은 윤리적이며(참조: 마 13:41이하), 약속과 위협이 동시에 암시되어 있다(마 13:30). 왜냐하면 이 결정은 현재의 행동의 결과에 의한 분리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참조: Walter Bauer; F.Hauck; B.A.Demarest).

여름 qevro"(2330, 데로스) 여름 Summer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명사 데로스(Homer 이래)는 데로(qevrw: 가열하다)에서 유래했으며,
(a)  '여름' Summer을 의미한다.
(b)  비유적으로 '하늘의 지복'(Hs 4:2, 5; M-M)을 의미한다.
2. 신약성경의 용법.
데로스는 신약성경에서 3회 나오며, 공관복음에만 사용되었다.
마 24:32(병행구, 막 13:28; 눅 21:30)에서 무화과 나무와 관련하여 나타난다. 무화과 나무가 잎을 낼 때 '여름'이 가까운 줄 알게 된다.(참조: Walter Bauer; J. H. Thayer).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제 44 과 불이 석인 유리바다 운영자 2020.05.29 1 92
다음글 제 42 과 인 맞은 성도의 새 노래 운영자 2020.05.29 1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