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9 과 영원한 영광 | 운영자 | 2020-05-29 | |||
|
|||||
제 69 과 영원한 영광
본문 : 마16:26-27, 사60:1-2. 계21:11,23. 요절 : 빌3:21 그가 만물을 자기에게 복종케 하실 수 있는 자의 역사로 우리의 낮은 몸을 자기 영광의 몸의 형체와 같이 변케 하시리라 1, 문답 1,무엇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나타내는가?(시19:24) 2,사람의 영광은 영원한가?(벧전1:24) 3,사람의 영광은 언제 끝나는가?(시49:17) 4,영광의 종류는 몇 가지에 속해 있는가?(고전15:40-41) 5,우리의 영광의 소망은 누구인가?(골1:27) 6,영원한 영광은 누가 주시는 것인가?(시84:11, 요17:22, 고후3:18) 7,하나님의 영광은 얻을 자와 얻지 못할 자는 누구인가?(롬3:23, 빌3:21. 골3:4) 기도제목 무엇 때문에 고난을 당하고 있는가? 현재의 고난을 어떻게 이겨낼까? 주님을 위한 고난도 있다. doxavzw : 찬양하다 praise, 영화롭게 하다 glorify.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동사 독사조(Xen. 이래)는 독사(dovxa, 1391)에서 유래했으며, 항상 '영광에 참예한다'를 의미한다. 이 단어는 (a) '의견을 가지다, 믿다, 생각하다, 상상하다', (b) '칭찬(송)하다, 찬양하다, 존중하다, 존경하다, 경의를 표하다, 영예를 주다'를 의미한다. 2. 70인역본의 용법. 독사조는 70인역본에서 약 130회 나오며, 14개의 히브리어 단어들의 역어로 사용되었으며, (a)의 의미는 나오지 않으며, 주로 (b)의 의미로 나온다. 3. 신약성경의 용법. 독사조는 신약성경에서 60회 나오며, (a)의 의미는 나오지 않고 (b)의 의미로만 나온다. 독사조는 신약성경에서 (b)의 의미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사용되었다. (a) 독사조는 '칭찬하다, 칭송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마 6:2; 눅 4:15). (b) 독사조는 '영예롭게 한다, 영화롭게 한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요 8:54; 계 18:7; 계 15:4; 롬 1:21; 롬 11:13; 고전 6:20 등). (c) 독사조는 영광스러운 지위나 상태로 높여지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스도에 대하여(요 7:39; 요 12:16; 요 13:31 이하; 요 17:1; 요 17:5; 행 3:13), 그리스도인들에 대하여(롬 8:30). (참조: J. H. Thayer; G. Kittel; Walter Bauer).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