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루시아 칼럼

  • 홈 >
  • 커뮤니티 >
  • 파루시아 칼럼
파루시아 칼럼
제 67 과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 운영자 2020-05-29
  • 추천 1
  • 댓글 0
  • 조회 125

http://faith.onmam.com/bbs/bbsView/30/5741511

제 67 과 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
본문 : 사66:10-14, 계21:9-27
요절 : 계21:27 무엇이든지 속된 것이나 가증한 일 또는 거짓말하는 자는 결코 그리로                   들어오지 못하되 오직 어린양의 생명책에 기록된 자들뿐이라

1, 문답
1,거룩한 성 새 예루살렘에는 누가 들어가는가?(21:24-25)



2,거룩한 성에 들어 갈 수 없는 자들은?(계21:27)



3,거룩한 성에는 무엇이 없다고 했는가?(계21:22)



4,거룩한 성에는 왜 해와 달이 필요가 없는가?(계21:23)



5,새 예루살렘 성은 어디로부터 내려오는가?(계21:10)



6,거룩한 성의 생활은 어떤 생활인가?(계22:3, 요14:23, 계15:3, 5:9, 마22:2, 4-5)



7,거룩한 성의 거주자들은 누구인가?(계5:11, 4:2-3, 5:6, 14:13, 4:4, 21:7, 20:4, 21:2, 히11:6)



기도제목
  나는 지금 거룩한가?

  새 집으로 이사갈 때의 기분은?

  내 영이 새 거룩한 집을 사모하고 있는가?
생명 나무와 생명수(계22:1-2)
1,생명강(창2:10, 계22:1)과 생명나무(창2:9, 계22:2)는 하나님께서 처음 지으신 에던동산의 원형이다.
2,생명수, 생명가, 생명나무는 그리스도 자신이 생명의 원천이라고 하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실제적인 진리이다(계22;17)
3,예수께서 친히 주시는 물을 먹는 자는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고 하셨다  (요4:14)
거룩하다 aJgiavzw :거룩하게 하다, 성별하다, 봉헌하다, 성화(성결)하게 하다.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동사 하기아조는 거의 독점적으로 성경 헬라어에 속한다. 형용사 하기오스(a{gio", 40: 신성한, 거룩한)에서 유래했으며, '거룩하게 하다, 신성(거룩)하다고 '선언하다. 봉헌하다, 성별하다'를 의미한다.
2. 70인역본의 용법
(a)  하기아조는 70인역본에서190여회 나오며, 주로 카다쉬(거룩하다)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이 동사의 사용법은 그것이 사용되는 배경에 있어서 명사나 형용사보다 더 일률적이다.
(b)  민 16:38에서 고라 자신의 향료들이 거룩하다고 한다. 출 29:21; 출 29:37; 출 30:29에서 제사 의식에 사용된 특정 물품이 하나님께 봉헌됨으로서 거룩한 것으로 여긴다.
(c)  어떤 사람이 부정함으로 인하여 공동체의 생활에서 일시적으로 배제되어 있을 때 그는 자신을 깨끗하게 한다(삼하 11:4).
(d)  또는 그가 하나님과 접촉하려 할 때 그는 자신을 성결하게 한다. 출 19:14 전후에 나오는 신의 현현 기사, 삼상 21:5이하에 나오는 거룩한 전쟁에 관한 기록, 그리고 삼상 16:5에 나오는 이새의 가족이 제사드리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 제사에서 여호와께서는 그 가문의 가장 높은 친척이 되신다.
(e)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들을 거룩히 구별하거나(삼상 7:1에서는 엘리아살이 제사장 직분으로 성별된다), 사물들을 거룩히 구별하여 삿 17:3 등에서는 은을, 왕상 8:64에서는 성전의 앞 뜰을 거룩히 구별한다.
(f)  거룩하다는 개념의 윤리적 의미는, 거룩한 것과 속된 것의 영역을 혼란시키는 행위에 대한 금지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레 22:32). 하나님은 죄를 심판함으로써 자기의 거룩함을 입증하신다(레 10:3; 민 20:13; 겔 28:22). 그의 거룩함은 또한 자기 약속들을 굳게 지킨다는 점에서 예증된다(겔 20:41; 겔 28:25; 겔 39:27).
3. 신약성경의 용법
동사 하기아조는 신약성경에서 28회 사용되었는데, 공관복음서에 4회, 요한복음에 4회, 사도행전 2회, 바울 서신에 16회, 베드로전서 1회, 유다서 1회, 요한계시록 1회 나온다.
(a) 주기도문의 첫번째 간구에 "당신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라는 구절이 나온다(마 6:9; 눅 11:2).
논리적으로 거룩하게 하는 주체는 하나님이시며 사람이 아니다. 이것은 뒤따르는 간구들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하나님의 이름은 그의 나라가 임하거나 그의 뜻이 이루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에 의해 거룩하게 여김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그의 이름은 그의 인격이며, 그 자체로 거룩하고, 그 거룩으로 계시되는 것이다(참조: 겔 20:41; 겔 38:16). 계시는 종말론적으로 마지막 심판에서 일어나며, 역사적으로 신자들에 의해서가 아닐지라도 신자들 안에서 일어난다.
하나님의 신성(deity)이 예배 행위(the mystery of worship)에서 인간에게 계시되고(참조: 사 6:3), 그 다음에 하나님은 인간에게 거룩히 여김을 받게 된다(즉 신성시 된다.).
예배의 요소는 여기서 하나님의 신성이 모든 피조물에 대하여 느끼는 예배에 열중되는 것이다. 신약성경의 다른 곳에서도 성화(sanctification)는 오로지 하나님께 속한다. 성전(마 23:17), 제단(막 23:19), 제사(히 9:13)가 거룩할 때라도 거룩하게 하는 능력은 오로지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바탕을 둔다.(Procksch, TDNT).
첫번째 의미는 하나님께서 자기 이름을 거룩하게 하거나 여김을 받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거룩함을    드러내시는 행동을 하실 때 그의 이름이 거룩하게 하거나 여김을 받게 된다.
두번째 의미는 인간들이 하나님(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거나 여김을 받게 하는 것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거나 여길 때 그의 이름이 거룩하게 되거나 여김을 받게 된다.
(b)  하기아조는 요한복음에 4회 나오는데 그 첫번째 구절에서 이 동사는 예수님께서 아버지의 뜻과 일을 수행하도록 특별히 성별되었음을 의미한다.
① 요 10:36에서 아버지께서 그리스도를 거룩하게 하신 것은 ("아버지께서 거룩하게 하사 …보내신 자가",
② 예수님은 대제사장으로서 그의 기도에서 "저희를 진리로 [거룩하게 하옵소서]… 또 저희를 위하여 내가 나를 [거룩하게 하오니] 이는 저희도 진리로 거룩함을 얻게 하려 함이니이다"라고 기도하였다(요 17:17; 요 17:19).
(c)  히브리서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 제사는 거룩하게 하는 방법으로 매우 분명히 기술되어 있다.
(d)  바울 서신에서 의롭게 함(justification)의 사상은 하나님의 한 기능인 거룩하게 함(sancti fication)을 흐리게 한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제 68 과 영원한 생명 운영자 2020.05.29 1 127
다음글 제 66 과 새 하늘과 새 땅 운영자 2020.05.29 1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