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65 과 백보좌 심판 | 운영자 | 2020-05-29 | |||
|
|||||
제 65 과 백보좌 심판
본문 : 고후5:8-10, 계20:11-15 요절 : 마25:46 저희는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 1, 문답 1,성도들은 최후의 심판대 앞에 서기 위하여 어떠한 사람이 되기를 힘써야하는가?(고후5:8-10) 2,최후의 심판은 무엇에 의하여 받게 되는가?(계20:12-15) 3,최후의 심판자는 누구신가?(고후5:10, 요5:27, 딤후4:1) 4,그리스도의 심판대에서 최후 심판을 조력할 자들은 누구인가?(마13:41-42, 마25:31-33,) 5,최후 심판의 대상자들은 누구인가?(벧후2:4, 유6, 계19:20, 롬14:10, 계20:11-15) 6,최종 심판의 시기는 언제인가?(마13:40, 계20:11) 7,최후 심판의 근거는 무엇이라고 하였나?(롬2:6-8, 고후5:10, 마12:36-37, 계2:23, 마7:21) 기도제목 영과 육 다 같이 온전하게 살기 위하여? 영과 육이 치우치지 않기를 위하여?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되기 위하여? 보좌 : qrovno" : 왕좌, 보좌.krivsi" : 결정, 판단. 1. 고전 헬라어 문헌의 용법 명사 크리시스(Aeschyl., Hdt. 이래)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a) '분리, 분할, 불화, 다툼, 분쟁', (b) '선택', (c) '결정, 판단, 판결, 선고, 고소, 고발' (d) 전쟁에서 '결정'이나 질병에서 '진단'을 의미한다. 2. 70인역본의 용법 명사 크리시스는 70인역본에서 약 250회 나오며, 주로 히브리어 미쉬파트(공정, 법령, 소송, 판결, 심판 등)의 역어로 사용되었다. 3. 신약성경의 용법 명사 크리시스는 신약성경에서 약 47회 나오며,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크리시스는 '결정, 판단, 심판'을 의미한다. 어떤 것에 관하여 내리는 결정, 판단, 특히 정의와 불의, 옳은 것과 그릇된 것에 관하여 내는 결정이나 판단 및 심판을 나타낸다. (a) 법적 의미에서, 하나님 또는 메시야 예수님의 심판에 대해: 보편적으로, 약2:13; 살후1:5; 히10:27; 복수, 계16:7; 19:2; '마지막[최후의] 심판'에 대해: 히9:27; 마10;15; 11:22, 11:24; 12:36; 막6:11; 벧후2:9; 벧후3:7, 요일4:17; 유1:6; 계14:7; 마12:41이하; 눅10;14; 마11:31이하; 유1:15. 특히 '정죄의 판결': 히10:27; 벧후2:4; 계18;10; 행8:33; 약5:12, 영원한 정죄, 막3:29; 마23:33. (b) 요한의 용법에서 크리시스의 의미. ① 악인들이 그리스도께서 제공한 구원을 거부함으로써 불행과 형벌을 스스로 자초하였다는 점에서, 그리스도가 발생시킨 그 심판을 나타낸다. 요 3:19에서 빛이 세상에 들어옴으로써, 그리고 인간들이 이 빛을 미워함으로써 심판이 발생한다. 요 5:27에서 "심판하다"는 것은 '심판을 실행하다'를 의미한다. 요 5:24에서 "심판에 이르다"는 '정죄받은 자의 상태로 들어가다'를 의미한다. 요 12:31에서 "이 세상의 심판"은 이 세상이 악하다고 유죄 선언을 받고 이 세상의 권능이 파괴되었다는 점에서, 이 세상에 내려진 정죄적 판결을 의미한다. 요 16:8에서 "심판에 대하여"는 '내려진 심판에 대하여' 이다. ② 악인들에 대한 최후의 심판, 정죄를 나타낸다. 요 5:29에서 심판의 부활은 (정죄가 뒤따르는 부활)을 가리킨다. ③ 요 5:30에서는 앞의 두 개념이 결합되어 있다: "내가 아무것도 스스로 할 수 없노라 듣는 대로 심판하노니 나는 나의 원대로 하려 하지 않고 나를 보내신 이의 원대로 하려는 고로 내 심판은 의로우니라". 요 5:22에서 '심판하는 일 전체'를 나타낸다. (c) 다른 사람 등에 대한 사람의 판단이나 심판에 대해. ① 사람에 대한 사람의 판단에 대하여, 요 7:24; 요 8:16. ② 마귀에 대한 천사장의 판결에 대하여, 벧후 2:11; 유 1:9. (d) 마 5:21 이하에서 크리시스는 '재판 판단', '그 재판정'을 가리킨다. 이것은 갈대아어 디나(단 7:10, 단 7:26)와 같으며, 팔레스타인의 여러 도시에 있었던, 칠인의 재판정이며, 예루살렘에 소재한 "산헤드린"과는 구별된다[참조: Schurer, Neutest. Zeitgesch. §23],(신 16:18; 대하 19:6; Joseph. antt. 4, 8, 14; b.j. 2, 20, 5). (e) 크리시스는 마 23:23; 눅 11:42에서 '올바름, 정의'; 마 12:18에서 의의 힘을 가지게 될 그것, 마 12:20에서 '올바른 대의'를 나타낸다.(참조: J.H.Thayer; F.Buchsel).
|
댓글 0